thisisnew (매일 코딩, 매일 독서)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thisisnew (매일 코딩, 매일 독서)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전체보기 (164)
    • Development (131)
      • Go (5)
      • Java (7)
      • Servlet (1)
      • Spring (0)
      • Docker (17)
      • Elasticsearch (4)
      • Linux (16)
      • Algorithm (72)
      • Deployment (1)
      • Javascript (1)
      • Regular Expression (7)
    • Diary (9)
    • Review (24)
      • Book (19)
      • Book(DEV) (4)
      • Movie (1)

검색 레이어

thisisnew (매일 코딩, 매일 독서)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소셜 네트워크 (The Social Network, 2010)

    2022.10.07 by thisisnew

  • 2022년 10월의 목표

    2022.10.04 by thisisnew

  • 2022년 10월

    2022.10.04 by thisisnew

  • 2배속으로 월급 독립 - 김준영

    2022.10.04 by thisisnew

  • 그릿 GRIT - 앤절라 더크워스

    2022.10.04 by thisisnew

  • 당신의 뇌는 최적화를 원한다 - 가바사와 시온

    2022.10.02 by thisisnew

  • 잡담 말고 스몰토크 - 데브라 파인

    2022.10.01 by thisisnew

  • 서른 전에 한 번쯤은 심리학에 미쳐라 - 웨이슈잉

    2022.09.30 by thisisnew

소셜 네트워크 (The Social Network, 2010)

페이스북의 탄생을 다룬 영화. 십여 년 전에도 봤던 것 같은데, 다시 보니 스스로의 이해도에 많은 변화를 느꼈다. 아무래도 그동안 여자 친구와 사업을 진행하며 얻은 경험 덕분인 듯하다. 단순히 천재의 이야기로 치부하기엔, 배울 점이 많은 영화였다. 구상부터 현실화까지 모든 과정이 자극이 되었다. 가장 자극이 된 것은 역시 마크의 열정이었다. 몇 년째 '내 것'을 만들고 싶다고... 생각만 하던 나로서는, 더더욱 그랬다. 마크 저커버그의 열정을 보고 있으면, 착잡한 기분도 느껴졌다. 여러모로 나를 돌아보게 해 준 영화였다. '내 것'을 만들기 위해, 내게 필요한 지식은 어떤 것이 있을지 성찰해봐야겠다.

Review/Movie 2022. 10. 7. 23:02

2022년 10월의 목표

개발 Mission Linux Command Line 부트캠프: 리눅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 - Colt Steele JavaScript 알고리즘 & 자료구조 마스터클래스 - Colt Steele Docker & Kubernetes: 실전 가이드 - Maximilian Schwarzmüller 러닝 Go - 존 보드너 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with 자바 - 최원영 운영 체제와 정보 기술의 원리 - 반효경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조영호 엘라스틱 스택 개발부터 운영까지 - 김준영(완료) Notion 이력서 새로 작성 Progressing Linux Command Line 부트캠프: 리눅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 - Colt Steele JavaScript 알고리즘 & 자료구조 마스터클래스 - ..

Diary 2022. 10. 4. 21:49

2022년 10월

벌써 10월이라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 9월을 돌아보며, 가장 잘한 것을 꼽는다면 그것은 '독서'이다. 한 달간 약 10권의 책을 읽었는데, 대학생 시절 이후 이렇게 독서에 빠져 살아본 것은 오랜만이었다. 개발자라는 직업을 시작하며 줄곧, '개발에 관한 공부하기에도 시간이 부족하니, 책은 잠시 멀리하자.' 라는 생각을 했었다. 지금 생각하니 어리석었다. 개발 공부도 중요하지만, 독서는 타협하면 안 됐던 것 같다. 하지만 재충전 시간은 줄어들고 있는 것이 현실. 그래서 10월에는 평소처럼 열심히 개발 공부를 해 볼 생각이다. 더불어 개발 관련 포스팅도 열심히.

Diary 2022. 10. 4. 21:36

2배속으로 월급 독립 - 김준영

수익의 다각화, 자동화에 대한 염원은 오래전부터 갖고 있었다. 처음 개념을 잡은 것은 2011년,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를 읽고부터이다. 하지만 10년이 지나도록 나에게는 월급을 제외한 아무런 고정 수익원이 없었다.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단 하나의 수익원도 만들지 않았던 탓일까. 퇴사 후 집에 있는 요즘, 아무런 수익이 없어 통장 잔고는 계속 줄어들고 있다. 행동 없는 생각이라는 것이 이토록 가혹하다.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신만의 콘텐츠를 공유하고, 이후 파생되는 상황에 맞춰 수익화를 실현해나가는 것.' '자신만의 콘텐츠'라는 것이 아무래도 마음에 걸린다. 다행히도, 이런 사람이 나뿐만은 아니었나 보다. 책에서도 다양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의 좋은 점은, 실제 저..

Review/Book 2022. 10. 4. 18:02

그릿 GRIT - 앤절라 더크워스

많은 유튜버들(대표적으로 신사임당 님)이 극찬한 책이다. '목표를 끝까지 완수해내는 힘' 책에서는 끈기라고 표현한 이것. 이 책만큼 이것을 흥미롭게 설명할 수 있을까. 끈기는 일반적으로 스스로의 내면, 즉 정신력의 문제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많은 요인들(목표, 이타심, 가정교육 등)이 끈기를 좌우한다고 이 책은 설명한다. 재능보다는 끈기가 성공을 좌우한다는 것. 언뜻 특별할 것 없이 들리는 말이지만, 성공이 절실한 사람들에게는 가장 듣고 싶은 얘기가 아닐까 한다. 완독 후 목적의식이 충만해지는 좋은 책들이 많았지만, 이 책은 그것을 뛰어넘어 희망감을 느끼게 해 줬다. 나도 '성장형 사고방식'을 함양하며, '지속적 성장'을 해야겠다.

Review/Book 2022. 10. 4. 14:04

당신의 뇌는 최적화를 원한다 - 가바사와 시온

그동안 무의식적으로 가지고 있던 뇌에 대한 개념은 추상적이었다. 그러나 비록 적은 양이지만, 몇 권의 뇌과학 책을 읽고 뇌를 바라보는 시각에 조금은 변화가 생겼다. 이 책도 그런 변화에 도움을 준 고마운 책이다. 책에서는 7가지의 뇌 속 호르몬을 소개한다.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 세로토닌, 멜라토닌, 아세틸콜린, 엔도르핀.' 이 호르몬들은 각각의 역할이 있고, 그 역할이 우리의 행동 및 생활에 영향을 준다. 책에서는 이런 호르몬들이 언제 분비되는지 알려준다. 이에 따라, 호르몬들이 잘 분비되기 위한 조건도 함께 배울 수 있다. 우리는 누구나 원하는 특정 생활상이 있다. 이런 생활상에 다가가려면, 나의 '의지'보다는 나의 '뇌'를 관리하는 쪽으로 방침을 바꿔야 하겠다. 이런 점에서 뇌 속 ..

Review/Book 2022. 10. 2. 15:47

잡담 말고 스몰토크 - 데브라 파인

나의 mbti는 entj이다. 인터넷에서 우연히 본 자료에서, 눈에 띄는 entj의 특징이 하나 있었다. 그것은 바로 '스몰토크를 잘 못한다.' 라는 것. 진위여부는 둘째 치더라도, 적어도 나에게는 해당되는 얘기이다. 사실 나는 오랫동안 이것을 약점으로 여겨왔었다. 별로 친하지 않은 사람들과 대화할 때,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얘깃거리가 없었다. 성격상 타인에게 관심이 없기 때문 일터. 스스로 처방한 해결책도 있었다.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억지로라도 대화를 해나가려고 노력하는 것.' 근데 이게 쉽지 않았다. 이 책을 읽은 이유도 이 부분에 대한 영감을 받고 싶어서였다. 책의 서두에서는 저자님께서 '스몰토크에 서투름'으로 인해 받은 불이익, 혹은 불편에 대해 나온다. 참고로 저자님의 직업도 엔지니어였는데,..

Review/Book 2022. 10. 1. 18:40

서른 전에 한 번쯤은 심리학에 미쳐라 - 웨이슈잉

'세상은 심리전이 난무하는 난장판이다' 사회생활을 경험해보니 이 말이 정말 들어맞는 것 같다. 비록 서른이 넘었지만, 얼른 읽어보았다. 기존에 읽었던 심리학 책들과 달리, 여러 주제를 짧은 호흡으로 설명하는 구성이었다. 각 주제마다 친근한 예시가 곁들여져 있어,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었다. 나이가 들어도 여전히 사람의 마음은 잘 모르겠다. 그렇지만 이런 심리학 책을 읽을 때마다, 어느 정도의 '패턴'이 있음은 분명하게 느껴진다. 이런 지식들을 미리 탑재해둔다면, 세상살이의 난이도는 확실히 낮아질 거라 믿는다. 언뜻 거창할 수 있지만, 이것이 '현명함' 아닐까 생각해보았다.

Review/Book 2022. 9. 30. 12:1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Github LinkedIn
thisisnew (매일 코딩, 매일 독서)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