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isnew (매일 코딩, 매일 독서)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thisisnew (매일 코딩, 매일 독서)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전체보기 (164)
    • Development (131)
      • Go (5)
      • Java (7)
      • Servlet (1)
      • Spring (0)
      • Docker (17)
      • Elasticsearch (4)
      • Linux (16)
      • Algorithm (72)
      • Deployment (1)
      • Javascript (1)
      • Regular Expression (7)
    • Diary (9)
    • Review (24)
      • Book (19)
      • Book(DEV) (4)
      • Movie (1)

검색 레이어

thisisnew (매일 코딩, 매일 독서)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Linux - 퍼미션 (2)

    2022.12.11 by thisisnew

  • Linux - 퍼미션 (1)

    2022.12.11 by thisisnew

  • [Programmers] Lv.1 문자열 나누기 (Go)

    2022.12.11 by thisisnew

  • [Programmers] Lv.1 문자열 내 마음대로 정렬하기 (Go)

    2022.12.10 by thisisnew

  • Linux - 텍스트 에디터 Vim (3)

    2022.12.09 by thisisnew

  • [Programmers] Lv.1 콜라 문제 (Go)

    2022.12.09 by thisisnew

  • [Programmers] Lv.1 시저 암호 (Go)

    2022.12.08 by thisisnew

  • Linux - 텍스트 에디터 Vim (2)

    2022.12.08 by thisisnew

Linux - 퍼미션 (2)

5-4. 디렉터리의 퍼미션 디렉터리의 퍼미션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ls -ld 만약 제가 만들어놓은 practice_ubuntu라는 디렉터리의 퍼미션을 확인하면요. ls -ld practice_ubuntu/ 디렉터리도 파일의 퍼미션처럼 rwx라는 기호로 표시되는데요. 다만 이때 파일의 퍼미션과는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r : 읽기. 디렉터리에 포함된 파일 목록 확인. w : 쓰기. 디렉터리 하위 파일에 대한 작성, 수정 및 삭제. x :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 가령 디렉터리에 대한 읽기 권한이 없는 경우엔, ls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또, 파일을 지울 수 있는지는 파일이 아닌 디렉터리의 퍼미션에 의해 결정됩니다. 5-5. 파일 모드 변경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퍼미션을 설정하..

Development/Linux 2022. 12. 11. 23:10

Linux - 퍼미션 (1)

5. 퍼미션 5-1. 소유자 리눅스의 라이브러리와 명령어 등 모든 파일에는 소유자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소유자는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새로운 파일을 작성하면 그 파일의 생성자가 소유자가 됩니다. 다음 명령어를 통해 소유자를 파악할 수 있는데요. ls -l 가령 /bin/mkdir의 소유자를 보면요. 세 번째, 네 번째에 root가 총 두 번 나오는데요. 앞의 root가 소유자, 뒤의 root가 소유 그룹을 의미합니다. 5-2. 소유 그룹 소유 그룹이란, 사용자들을 묶은 그룹입니다. 임의의 그룹을 만들어 여러 사용자를 묶으면, 권한 관리가 좀 더 용이해집니다. 사용자는 반드시 한 그룹에 소속되어야 합니다. 만약 사용자를 처음 만들 때 디폴트는 사용자의 이름과 동일한 그룹에 소..

Development/Linux 2022. 12. 11. 22:49

[Programmers] Lv.1 문자열 나누기 (Go)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40108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문자열 s가 입력되었을 때 다음 규칙을 따라서 이 문자열을 여러 문자열로 분해하려고 합니다. 먼저 첫 글자를 읽습니다. 이 글자를 x라고 합시다. 이제 이 문자열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나가면서, x와 x가 아닌 다른 글자들이 나온 횟수를 각각 셉니다. 처음으로 두 횟수가 같아지는 순간 멈추고, 지금까지 읽은 문자열을 분리합니다. s에서 분리한 문자열을 빼고 남은 부분에 대해서 이 ..

Development/Algorithm 2022. 12. 11. 00:01

[Programmers] Lv.1 문자열 내 마음대로 정렬하기 (Go)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15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문자열로 구성된 리스트 strings와,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각 문자열의 인덱스 n번째 글자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strings가 ["sun", "bed", "car"]이고 n이 1이면 각 단어의 인덱스 1의 문자 "u", "e", "a"로 strings를 정렬합니다. 제한 조건 strings는 길이 1 이상, 50 이하인 배열입니다. strings의 원..

Development/Algorithm 2022. 12. 10. 00:01

Linux - 텍스트 에디터 Vim (3)

4-12. 검색 Vim에서는 문자열을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키는 슬래시(/)인데요. 슬래시를 누르면 위와 같이 입력란이 표시가 되고요. 그다음 찾고자 하는 문자열을 입력하면 됩니다. 검색은 현재 커서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만약 파일의 처음부터 검색하고 싶은 경우에는 gg를 입력하여 우선 커서를 문서의 첫 부분으로 이동시켜야 합니다. 또, 결과가 여러 개일 경우에는 n 혹은 N을 누르면 결과를 이동하며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이동 방향을 반대로 하고 싶을 경우에는 슬래시 대신에 물음표(?)를 사용하면 됩니다. 4-13. 치환 Vim에서는 문자열을 치환할 수 있는데요. :를 눌러 입력란을 표시하고요. 다음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s/찾으려는 문자열/치환할 문자열/g

Development/Linux 2022. 12. 9. 09:45

[Programmers] Lv.1 콜라 문제 (Go)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2267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오래전 유행했던 콜라 문제가 있습니다. 콜라 문제의 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답은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세요. 콜라 빈 병 2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1병을 주는 마트가 있다. 빈 병 20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가? 단, 보유 중인 빈 병이 2개 미만이면, 콜라를 받을 수 없다. 문제를 풀던 상빈이는 콜라 문제의 완벽한 해답을 찾았습니다. 상빈이가 푼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

Development/Algorithm 2022. 12. 9. 00:01

[Programmers] Lv.1 시저 암호 (Go)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26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어떤 문장의 각 알파벳을 일정한 거리만큼 밀어서 다른 알파벳으로 바꾸는 암호화 방식을 시저 암호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B"는 1만큼 밀면 "BC"가 되고, 3만큼 밀면 "DE"가 됩니다. "z"는 1만큼 밀면 "a"가 됩니다. 문자열 s와 거리 n을 입력받아 s를 n만큼 민 암호문을 만드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제한 조건 공백은 아무리 밀어도 공백입니다. s는 ..

Development/Algorithm 2022. 12. 8. 00:01

Linux - 텍스트 에디터 Vim (2)

4-6. 커서 이동 Vim의 명령 모드에서 커서 이동은 h, j, k, l를 사용합니다. h : 왼쪽으로 이동 j : 아래로 이동 k : 위로 이동 l : 오른쪽으로 이동 j키와 k키로 위아래를 움직이고, 가장자리에 있는 h, l를 이용하여 양옆으로 움직인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4-7. 문장의 처음 혹은 끝 이동 행의 처음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0을 사용하면 됩니다. 반대로 행의 끝으로 이동할 때는 달러($)를 누르면 됩니다. 4-8. 문자 입력 https://thisisnew-storage.tistory.com/131 Linux - 텍스트 에디터 Vim (1) 4. Vim 4-1. Vim 설치 텍스트 에디터인 Vim의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설치가 되어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vim --..

Development/Linux 2022. 12. 8. 00:0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8 ··· 21
다음
Github LinkedIn
thisisnew (매일 코딩, 매일 독서)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