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isnew (매일 코딩, 매일 독서)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thisisnew (매일 코딩, 매일 독서)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전체보기 (164)
    • Development (131)
      • Go (5)
      • Java (7)
      • Servlet (1)
      • Spring (0)
      • Docker (17)
      • Elasticsearch (4)
      • Linux (16)
      • Algorithm (72)
      • Deployment (1)
      • Javascript (1)
      • Regular Expression (7)
    • Diary (9)
    • Review (24)
      • Book (19)
      • Book(DEV) (4)
      • Movie (1)

검색 레이어

thisisnew (매일 코딩, 매일 독서)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dockercontainer

  • Docker - 볼륨 마운트

    2022.11.18 by thisisnew

  • Docker - 바인드 마운트

    2022.11.17 by thisisnew

  • Docker - 스토리지

    2022.11.16 by thisisnew

  • Docker - 도커 네트워크

    2022.11.15 by thisisnew

  • Docker - 이미지 조회와 삭제

    2022.11.14 by thisisnew

  • Docker - 컨테이너의 통신

    2022.11.14 by thisisnew

  • Docker - 컨테이너의 기본적인 사용법 (생성부터 삭제까지)

    2022.11.13 by thisisnew

  • Docker - 컨테이너의 기본적인 사용법 (명령어)

    2022.11.12 by thisisnew

Docker - 볼륨 마운트

9-7. 볼륨 마운트 실습 https://thisisnew-storage.tistory.com/82 Docker - 바인드 마운트 9-6. 바인드 마운트 실습 https://thisisnew-storage.tistory.com/81 Docker - 스토리지 9. 볼륨 9-1. 볼륨이란? 볼륨은 컨테이너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앞서 컨테이너를 thisisnew-storage.tistory.com 이전 글에서 바인드 마운트를 해봤습니다. 이번에는 볼륨 마운트를 해볼게요. 바인드 마운트에서는 컨테이너를 만들고 원하는 경로(디렉터리 혹은 파일)와 마운트 했죠? 볼륨 마운트는 조금 다릅니다. 우선 볼륨을 만들어야 합니다. 실습해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vol_practice..

Development/Docker 2022. 11. 18. 00:01

Docker - 바인드 마운트

9-6. 바인드 마운트 실습 https://thisisnew-storage.tistory.com/81 Docker - 스토리지 9. 볼륨 9-1. 볼륨이란? 볼륨은 컨테이너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앞서 컨테이너를 다루는 실습에서, 컨테이너를 만들고 지우기를 반복했었습니다. 그런데 thisisnew-storage.tistory.com 이전 글에서 도커의 스토리지 관리에 관해 개략적으로 설명드렸는데요. 이번에는 그중 바인드 마운트를 직접 실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습해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d(아파치) 이미지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생성. (컨테이너 이름은 bind_apache) 호스트 컴퓨터에 bind_practice라는 폴더를 만들고 이 컨테이너와 마운트. b..

Development/Docker 2022. 11. 17. 00:03

Docker - 스토리지

9. 볼륨 9-1. 볼륨이란? 볼륨은 컨테이너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앞서 컨테이너를 다루는 실습에서, 컨테이너를 만들고 지우기를 반복했었습니다. 그런데 만약 컨테이너에 데이터가 엮여있었다면, 같이 지워졌겠죠? 중요한 데이터였다면 생각하기 싫은 일이 벌어질 뻔했습니다. 이렇게 지워지지 않도록 어딘가에 저장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9-2. 마운트란? 그래서 데이터는 컨테이너의 외부의 스토리지에 두고 컨테이너와 연결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컨테이너는 만들거나 지우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데 데이터는 영향을 받아서는 안되니까요. 이때 데이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마운트'라고 합니다. 도커에서 스토리지에 마운트 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바인드 마운트 볼륨 마운트 ..

Development/Docker 2022. 11. 16. 00:10

Docker - 도커 네트워크

8. 여러 컨테이너의 연결 8-1. 도커 네트워크 일반적인 웹 사이트는 위의 사진과 같은 모양을 띄고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서버가 연동되어 각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죠. 가령 웹 서버가 처리한 것을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식으로요. 지금까지 배워 온 것에 기초한다면, 이것은 이렇게 비유할 수 있겠습니다. '여러 컨테이너 간의 연동'이요. 그리고 그걸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도커 네트워크'입니다. 8-2. 도커 네트워크 생성과 삭제 도커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커맨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docker network create [OPTIONS] NETWORK 또, 도커 네트워크를 삭제하는 커맨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docker network rm NETWORK [NETWORK...] https:/..

Development/Docker 2022. 11. 15. 00:05

Docker - 이미지 조회와 삭제

7. 이미지 7-1. 컨테이너의 삭제 이미지의 삭제 컨테이너의 생성 시 이미지가 필요한 것은 예전 글에서 여러 차례 보았습니다. run 커맨드 실행 시 이미지가 없을 때는 이렇게 이미지를 먼저 받아오죠. 하지만 반대로 컨테이너를 삭제해도 이미지는 삭제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컨테이너를 지웠다가 다시 만들면, 이미지를 받아오는 과정이 생략되죠. 위의 사진처럼요. (물론 동일한 이미지를 사용했을 때에 해당하는 얘기입니다.) 이미지 역시 용량을 차지하기 때문에 필요 없을 때는 삭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7-2. 이미지 조회와 삭제 먼저 어떤 이미지가 남아있는지 조회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커맨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docker image ls [OPTIONS] [REPOSITORY[:TAG]] 실습을 통해 받아온 ..

Development/Docker 2022. 11. 14. 00:05

Docker - 컨테이너의 통신

6. 컨테이너의 통신 6-1. 컨테이너의 통신 https://thisisnew-storage.tistory.com/73 Docker - 컨테이너의 기본적인 사용법 (생성부터 삭제까지) 5. 컨테이너의 생성부터 삭제까지 5-1. 컨테이너의 생애주기 컨테이너를 만들고 폐기하는 단계를 컨테이너의 '생애주기(Life Cycle)'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삭제하는 단계까지 thisisnew-storage.tistory.com 앞서 nginx 이미지를 활용하여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삭제까지 해봤습니다. 하지만 컨테이너를 생성했다면 그것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요. 특히 nginx 같은 웹서버라면 포트를 통해 접근할 수 있어야겠죠? https://hub.docker.com/_/nginx nginx ..

Development/Docker 2022. 11. 14. 00:01

Docker - 컨테이너의 기본적인 사용법 (생성부터 삭제까지)

5. 컨테이너의 생성부터 삭제까지 5-1. 컨테이너의 생애주기 컨테이너를 만들고 폐기하는 단계를 컨테이너의 '생애주기(Life Cycle)'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삭제하는 단계까지 해보겠습니다. 컨테이너 붙여줄 이름과 사용할 이미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컨테이너 이름 nginx_ex1 이미지 nginx 시작하기 전에 우선 도커 엔진을 실행시켜야겠죠? 혹시 도커 데스크톱이 꺼져있다면 실행해줍니다. (도커 엔진 실행 = 도커 데스크톱 실행) 그리고 터미널을 열어줍니다. 5-2. 컨테이너 생성 및 실행 터미널에 아래의 커맨드를 입력해줍니다. docker run --name nginx_ex1 -d nginx run은 도커 이미지를 내려받고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실행하는 커맨드입니다. 그래서 위의..

Development/Docker 2022. 11. 13. 00:04

Docker - 컨테이너의 기본적인 사용법 (명령어)

4. 컨테이너의 기본적인 사용법 4-1. 기본적인 명령어의 구조 도커 데스크톱을 열면 첫 화면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볼 수 있습니다. docker run -d -p 80:80 docker/getting-started 도커에서 컨테이너를 다루는 모든 명령어는 위와 같이 docker라는 단어로 시작합니다. docker 커맨드 (옵션) 대상 (인자) 기본적인 명령어의 구조는 위와 같은데요. 옵션과 인자가 추가되면서 점차 긴 명령어가 되지만 기본 뼈대는 동일합니다. 4-2. 기본적인 컨테이너의 명령어 다음은 자주 사용하는 컨테이너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un : 도커 이미지를 내려받고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실행. docker run [OPTIONS] IMAGE [COMMAND] [ARG...] sta..

Development/Docker 2022. 11. 12. 00:0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Github LinkedIn
thisisnew (매일 코딩, 매일 독서)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