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Linux - 텍스트 에디터 Vim (1)

Development/Linux

by thisisnew 2022. 12. 7. 00:01

본문

반응형

 

 

4. Vim

 

4-1. Vim 설치

 

텍스트 에디터인 Vim의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설치가 되어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vim --version

만약 설치가 안되어있다면 위의 사진처럼 나올 겁니다.

어떻게 설치하는지 친절하게 알려주네요.

그럼 알려준 데로 설치해보죠.

sudo apt install vim

//혹은
//우분투 - apt-get install vim
//centos - yum install vim

 

그럼 이렇게 설치되는 과정이 보입니다.

그리고 다시 버전을 확인하면요.

vim --version

이렇게 설치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4-2. Vim 시작

 

Vim을 시작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vim

Vim은 vi의 뒤를 이어 만들어진 텍스트 에디터입니다.

그래서 vi를 입력해도 vim이 작동하게 됩니다.

vi

 

4-3. Vim 종료

 

Vim을 종료하는 방법은 :(콜론)을 누르고 q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q

 

4-4. 파일 열기

 

vim 파일명

Vim에서 파일을 여는 명령어는 vim + 파일명입니다.

그런데 만약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이름으로 새로운 파일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vim test_vim.txt

 

4-5. 파일 저장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은 :(콜론)을 누르고 w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w

Vim에서는 명령어를 입력하는 명령 모드와 텍스트를 입력하는 입력 모드가 있습니다.

그래서 vim을 실행하고 i를 입력하면 입력 모드로 전환되고, esc를 누르면 다시 명령 모드가 됩니다.

 

만약 입력 모드에서 파일의 내용을 수정하고 종료(:q)를 하려고 하면요.

 

이런 알림이 뜨게 됩니다.

이럴 때는 저장(:w)을 하거나 혹은 저장하지 않고 종료(:q!)를 해야 합니다.

  • :q - Vim 종료
  • :w - 저장
  • :w 파일명 - 해당 파일명으로 저장
  • :q! - 저장하지 않고 Vim 종료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